유럽 왕가를 병들게 한 근친혼의 역사: 합스부르크 턱에서 혈우병까지
역사 속 유럽 왕가들은 권력과 혈통을 유지하기 위해 근친혼을 자주 선택하였다. 겉으로는 왕조의 정통성을 지키는 전략이었으나, 그 결과는 예기치 못한 질병과 쇠퇴로 이어졌다. 근친혼은 가까운 혈연끼리 이루어지는 혼인으로, 열성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될 가능성을 크게 높인다. 실제로 합스부르크 가문에서 나타난 ‘합스부르크 턱’이나, 빅토리아 여왕 후손들에게 퍼진 ‘혈우병’은 잘 알려진 사례다. 나아가 이집트 파라오와 여러 귀족 가문에서도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