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지 대립유전자로 보는 ABO 혈액형 유전과 하디-바인베르크 법칙

ABO혈액형과 하디 바인베르크 평형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ABO 혈액형—A, B, AB, O—은 단순한 병원 검사 결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다. 사실 이 혈액형은 유전학의 기본 원리, 특히 하디-바인베르크 평형(Hardy-Weinberg equilibrium, HWE)이라는 법칙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 법칙은 유전자의 분포가 어떤 조건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지를 설명해 준다. 특히 ABO 혈액형 유전은 이 이론의 실제 적용 예로 자주 소개된다. 이번 … 더 읽기

3분 만에 이해하는 생물다양성협약과 진화론의 연결고리

생물다양성협약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는 수많은 생물종의 고리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생물들의 다양성과 상호작용은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기반이 된다. 그러나 산업화, 기후변화, 서식지 파괴 등으로 생물다양성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세계 각국은 생물다양성협약(CBD)이라는 공동의 약속을 체결하였다. 이 글에서는 생물다양성협약의 탄생 배경과 핵심 개념, 유전적 기반인 감수분열과 유전자 변이, 그리고 진화론과 자연선택설의 관점에서 생물다양성을 고찰한다. 또한, … 더 읽기

8%의 남성이 겪는 색각 이상, 색맹과 색약 그리고 적록색맹과 색약

적록색맹과 적록색약

사람마다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은 다르다. 특히 색을 인식하는 능력은 유전적 요인에 따라 개인차가 크다. 일반적으로 ‘색맹’이라고 알려진 시각적 특성은 정확히 구분하면 ‘색약’과 ‘색맹’으로 나뉜다. 이 글에서는 색약과 색맹의 차이를 중심으로, 적록색약과 적록색맹의 과학적 원리, 유전 방식, 그리고 사회적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색각 이상은 단순한 시각의 차원을 넘어 교육, 직업, 디자인 접근성 등 사회 전반에 걸친 … 더 읽기